큐레이션
큐레이션을 통해 선별된 양질의 교육서비스 공유활용
자녀교육부터 학부모교육까지 양질의 교육서비스 !
큐레이션
지역교육뉴스
[이종환의 주간 교육통신 '입시 큐']2023 대입, 수시 지원을 앞두고
내달 2일까지 수능원서 접수에 이어 오는 13일부터 대입 수시 지원이 시작된다. 수능원서 접수 시에 이과 학생들이 제2외국어를 선택 응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올해 정시에도 서울대 문과 모집단위에 지원하는 이과 수험생들이 적지 않으리라 예상한다. 이과 최상위권 수험생들 중 상당수는 제2 외국어(서울대 문과 정시 필수 응시) 영역의 감점보다 과학탐구, 수학영역에서 문과 수험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되리라 본다. 한편 문과에 불리한 통합형 수능구조를 일부라도 보완하기 위해, 올해 정시부터 이과 수험생이 정시로 인문사회계열에 지원하면, 과학탐구 과목이라도 문과생과 동일하게 사회탐구 백분위 변환 표준점수를 주는 방식을 일부 대학에서 고민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정시 세부 요강이 확정되어봐야 알겠지만, 작년과 조금은 다른 양상이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는 이야기다. 경희대는 2024학년, 즉 내년 정시부터는 한의예과 등의 인문계열 선발에서 확률과 통계, 사회탐구를 필수 응시과목으로 지정하는 등 일부 학과에 한정되지만 교차지원의 장벽을 높였다. 대학에서도 지나친 교차지원의 부작용에 대해 심각성을 느끼고 있다는 반증이다.
수시 지원을 앞둔 고3 수험생들의 눈에 들어오는 대학별 입시 결과는 무엇보다 대학에서 발표한 내신 등급 컷일 것이다. 수험생들의 편의를 위해 종합전형에서도 내신 컷을 발표하는 대학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수험생 입장에서 가끔 오해가 생기기도 한다. 종합전형 내신 등급 컷이 생각보다 낮은 경우에는 먼저 당해 연도와 전년도의 수시 요강을 확인해서 달라진 점이 있는가를 확인해보는 것이 우선이다. 모집인원 증감 또는 면접의 비중이나 수능최저 학력기준의 변화 등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다음으로 낮은 내신등급 컷을 접하면, 우리 학교에서 이 내신 등급대의 선배 수험생들이 합격한 사례가 많았던가를 따져봐야 한다. 전혀 그렇지 않으면 해당 학과는 자사고나 특목고생의 지원과 합격이 많은 학과일 가능성이 높다. 대교협이나 각 지역 교육청 진로진학센터, 담임선생님과의 상담을 통해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특히 종합전형의 내신등급 컷에 대해 오판하지 말기를 바란다.
기자명 | 담당지역 | 이메일 | 기자사진 |
---|---|---|---|
조선에듀 교육기자 / 지역신문 | 서울특별시·종로구 | chosunpress@chosun.com |